곡식의 가루를 찌거나 익힌 뒤 모양을 빚어 먹는 음식을 떡이라고 한다. 곡식이 주원료니 주식이 쌀인 동아시아에서 발달했고, 그 중에서도 한국은 대표적인 떡의 나라다. 낙랑의 유적에서 시루가 발견된 데서 보듯 우리나라에서 떡을 만들어 먹기 시작한 건 원시농경시대로 추정된다. 내가 자랄 때만 해도 설날에 떡국을 먹지 않으면 나이를 안 먹는다고 생각했고, 추석 땐 온 가족이 송편을 빚었다. 지금도 떡은 아이들 돌잔치를 비롯해 회갑연 등 각종 기념일에 없어선 안되는 음식이다.
그래서 그런지 떡은 대부분 좋은 의미, 즉 원하는 것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다음 말들을 보면 우리가 떡을 얼마나 숭상해 왔는지 알 수 있다. 이게 웬 떡이냐/ 그림의 떡/ 남의 손의 떡은 커 보인다/ 양손의 떡/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떡 줄 사람은 꿈도 안 꾸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지/ 주는 떡도 못 받아먹냐.
전남 강진군 강진읍의 한 떡방앗간 (출처 :경향DB)
이러던 떡에 돈이 결부되면서 떡에 대한 인식이 점차 달라진다. 이른바 ‘떡값’인데, 원래 이건 명절에 떡을 해서 먹으라고 돈을 주고받는 아름다운 풍습에서 비롯됐다. 명절 때마다 공무원에게 지급한 ‘떡값’도 그 연장선이었으며, 결혼이나 이사처럼 좋은 일에 사람들이 돈을 조금씩 모아 준 것도 ‘떡값’이라 불렸다. 떡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적으로 나쁘게 만든 건 다음 사건이 계기였다. 3공화국에서 중앙정보부장과 비서실장 등 요직을 맡았던 이후락은 자신에 대해 부정축재 시비가 벌어지자 “떡을 만지다 보면 떡고물이 묻기 마련”이라고 해 화제가 됐다. 1980년 신군부가 부정축재자에 대해 조사할 당시 발표된 이후락의 재산이 194억원이었으니, 떡고물 치고는 좀 과하단 생각이 든다.
떡값을 싫어할 사람은 없을 테지만, 우리 사회에서 특히 떡값에 열광하는 직업군으론 검사가 단연 최고다. 삼성 법무팀에 있다가 나와서 양심선언을 한 김용철 변호사는 삼성이 떡값을 돌리며 검사들을 관리했다고 증언해 파장을 일으켰다. 또 안기부가 도청한 파일이 세상 밖으로 나온, 소위 안기부 X파일 사건에선 삼성 측으로부터 떡값을 받은 검사들의 실태가 낱낱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명단에 있던 검사들은 그 뒤 법무장관, 검찰총장 등 고위직으로 승진해서 사람들을 의아하게 만들었다.
이런 사건들로 인해 떡에 대한 인식이 나빠져, ‘떡실신’ 같은 부정적인 단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걸그룹 티아라의 기존 멤버들이 새 멤버를 괴롭히는 과정에서도 떡이 등장했다. 시중의 동영상을 보면 방송 도중 한 멤버가 커다란 떡을 새 멤버의 입에 쑤셔넣고, 다른 멤버들은 그걸 보면서 박장대소한다. 방송에서 떡먹기 시합을 하다 죽은 성우의 예를 생각하면 그게 과연 웃을 일이었는지 의문이다.
2년 전 정론지인 매경이코노미의 기사엔 떡에 관한 감동적인 기사가 실렸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50년대 바닷가 마을에 살던 한 소년은 떡을 좋아했다. 가난했던 그 소년은 잔칫집 일을 도와주고 난 뒤 주인이 싸주는 잔치떡을 거절하는데, 집으로 향하는 소년의 머릿속에선 “떡의 영상이 떠나질 않았다”. 그럴 거면 그 떡을 받지 왜 거절했을까 싶지만, 물 한 모금도 얻어먹지 말라는 어머니의 당부를 거역할 수 없었단다. 그때 떡을 받지 못한 게 한이 되었을까. 소년은 나중에 떡을 좋아하는 어른으로 자랐고, 대통령이 된 뒤엔 어릴 적 못 이룬 꿈을 마음껏 펼치고 있다.
청와대가 주관하는 행사에선 늘 떡이 등장하고, 선물도 죄다 떡이다. 지방이나 해외에 나갈 때도 떡을 싸갈 정도이고, 대통령 부인이 벌이는 한식 세계화 사업도 사실은 ‘떡 세계화’니, 가히 ‘떡대통령’이라 부를 만하다. 안타까운 건 그가 그렇게 떡에 집착하는 동안 주위 사람들은 열심히 떡값을 챙겼고, 그 바람에 국민들이 떡실신 중이라는 것. 그래서 어린 시절이 중요하다. 그때 그 잔칫집 아주머니가 준 떡을 그냥 받았다면 떡보다 민생에 조금 더 집착하지 않았으려나.
'과학과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강의 후예 (13) | 2012.09.18 |
---|---|
디스토시드와 의사 처방 (17) | 2012.09.04 |
‘떡’에 관한 추억 (16) | 2012.08.08 |
검사들에게 상상력 교육을 (9) | 2012.07.24 |
휠체어의 또 다른 용도 (5) | 2012.07.10 |
문대성, 나한테 전화하지 그랬니 (38) | 2012.06.01 |
열혈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이런 엄청난 사건들을 조목조목 떡에 비유하시는 교수님글을 읽다가
마지막 떡실신이란 단어에서 기여이 저는 웃다가 떡실신했습니다.ㅎㅎ
에어컨도 없이 견디고 있는 더위도 순간 잊어버리고요....감사합니다~꾸벅~
Reply: 서민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안녕하세요 이번주는 좀 낫지만, 지난주는 정말 에이컨 없이 어찌 견디셨는지... 저희 딸들은 털이 많아서 유독 더 힘들어하더라구요.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다니 제가 감사...!
그레이하운드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집에 던져져있는 신문을 읽다가 읽을거리가 없어 접어버리기전에 발견한 글. 정말 깨알같은 비유글에 박장대소했습니다. 자주 들러서 글을 읽어볼게 될 거 같아요. 떡보다는 민생에 집착하는 대통령, 이번에는 꼭 그런 대통령이 나오길...
Reply: 서민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헤헤 접히기 전에 채택되어서 다행입니다. 제 글이 실린 지면이 좋았던 덕분이겠네요^^
몽총옹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입이 '떡' 벌어지는 글입니다.ㅎㅎ
Reply: 서민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와아...이런 멋진 댓글을...!
돌맹이의 뜬구름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예전에 마당에 멍석깔고 잔치하던 시절에 땅바닦에 떨어진 떡 고물은
쥐들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가 아니었을 까요?
물론 현재도 떡고물을 좋아하는 쥐가 있지만요....
Marc Jacobs replica handbags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실제 공연도 참 멋있었는데 아쉽게도 사진 밖에 남은게 없네요...
고맙습니다^^
떡장수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기생충관련 네이버 기사를 보다가 들르게되었는데, 빵 터지네요 ㅎㅎ 앞으로도 자주 들를게요
삐따기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교수님..
새글 업데이트를 눈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삐따기입니다.
메일 접속해서 눈팅만 하고 가네요
Reply: 열혈팬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저도요!!!
파란하늘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역시 언제 읽어도 알찬 내용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첫걸음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우연히 알게된..교수님 글들을 읽을 때마다 젊어지고 있습니다.
일소일소 일노일노~~ 감사합니다. 맑은 공기가 좋습니다.
개구리소년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ㅋㅋㅋㅋㅋㅋ 교수님. 저도 떡실신하다가 갑니다. ㅋㅋㅋ
촌철살인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ㅋㅋㅋ 떡떡떡.ㅋㅋ
마지막 단락이...최강입니다.ㅋㅋㅋ
고작 그 떡 몇 덩어리때문에 우리가 이런 드러운 꼴을 보며 살아야 하다니.ㅋㅋㅋ
강지수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그런 사연의 역사가 있었군요..
내가 왜 떡을 싫어하게 됐는지 이제야 그 궁금증이 풀렸습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