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대제는 세계적인 IT 전문가로 삼성에서 수십억 원의 연봉을 받고 있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 “IT산업을 일으켜 10년 후 우리 국민의 먹을거리를 마련해 달라”며 그에게 정보통신부 장관 자리를 제안했다. 결국 그는 수십억 원의 연봉을 포기하는 대신 우리나라를 정보통신 분야 강국으로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한다. 공직에 ‘자기희생’과 ‘봉사’의 개념이 담겨 있다면, 진대제야말로 모범이 될 만한 공직자라 할 만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위 공직자 중엔 희생과 봉사보단 자신의 꿈을 이루려고 공직자가 된 사람이 있다. 꿈을 좇는 건 물론 아름다운 일이지만, 그 꿈이라는 게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임무와 동떨어진데다 국민들의 이익과도 배치되기 십상이라는 게 문제다. 그 결과 많은 고위 공직자들이 불명예스럽게 퇴진하고, 해당 분야는 물론이고 국민경제 전반에 막대한 불이익이 발생한다. 고위 공직자들에 한해서 운영의 묘를 살리는 지혜가 필요한 이유다.
예컨대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려고 하는 어떤 정치인은 자신의 꿈이 아버지에 대한 효도다. 살아생전 못 다한 효도를 국가적 차원에서 하겠다는 것.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정을 돌보기보단 효도에 집중하느라 제대로 일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엔 아예 ‘효도부’를 만들자. 효도부에서는 각 도와 광역시에 아버지 동상과 기념관을 만들고, 초.중.고는 물론이고 대학생들까지 의무적으로 견학하도록 한다. 그러면 대통령은 효에 대한 부담 없이 마음껏 국정을 돌볼 수 있으니 국민들에게도 좋다. 동상과 기념관을 만드느라 일자리 창출도 되니 일석삼조라는 게 바로 이런 거다.
또 다른 분은 어렵게 자란 탓인지 자신의 꿈이 돈을 많이 버는 거였다. 자신은 물론이고 일가친척들도 다 잘 살게 해드려야 한다는 것.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가를 자신이 돈을 버는 수단으로 전락시킴으로써 제대로 일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엔 아예 ‘재테크부’를 만드는 게 좋다. 국가 예산 중 매년 1조원 정도를 떼어 대통령과 일가친척들에게 나눠주고 그들의 재테크를 도움으로써 대통령이 다른 마음을 먹지 않고 국정에만 매진하도록 하자는 것. 1조원이 말이 되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대통령이 1조원을 만들려고 전국의 강바닥을 파게 만드는 것보다는 이편이 훨씬 낫다. 일자리 창출 면에서는 손해일지 몰라도 그로 인해 절약되는 20여조 원을 경제발전과 복지로 돌린다면 이것 역시 일석삼조가 아니겠는가?
내가 아는 또 다른 분은 운동권 시절 고생을 많이 한 탓인지 남이 자신을 알아주는 걸 필생의 꿈으로 갖게 됐다. 공자는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화내지 않으면 그 또한 군자가 아니겠느냐"고 했지만 그거야 공자가 워낙 유명하고 존경을 받는 분이니까 그런 말을 한 거지, 남이 자기를 몰라봐 주는 것만큼 열 받는 경우는 드물다.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여기 저기 전화를 걸어 자신의 위대함을 끊임없이 확인하느라 제대로 일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엔 각 부처, 심지어 동사무소 같은 곳마다 대통령 전화를 받는 담당자를 하나씩 두자. 대통령으로부터 불시에 전화가 걸려오고, "나 대통령이오!"라는 말이 들리면 "아 네 훌륭하신 대통령님. 지금 일어나서 전화 받고 있습니다."라며 공손히 응대하는 거다. 뭐 그런 쓸데없는 직책을 만드느냐고 하겠지만, 바쁜 공무원들이 이분이 진짜 대통령이 맞는지 걱정하는 것보단, 전화를 잘못 받아 좌천. 해고되는 공무원들이 많아지는 것보단 이편이 훨씬 경제적이다. 게다가 친절한 전화 응대에 기분이 좋아진 대통령이 나랏일을 더 잘할 테니, 가히 일석삼조라 하겠다. 꿈은 꿈대로 좇게 하고, 일은 일대로 시켜먹는 것, 그게 우리나라에서 고위공직자를 제대로 부리는 최선의 방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위 공직자 중엔 희생과 봉사보단 자신의 꿈을 이루려고 공직자가 된 사람이 있다. 꿈을 좇는 건 물론 아름다운 일이지만, 그 꿈이라는 게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임무와 동떨어진데다 국민들의 이익과도 배치되기 십상이라는 게 문제다. 그 결과 많은 고위 공직자들이 불명예스럽게 퇴진하고, 해당 분야는 물론이고 국민경제 전반에 막대한 불이익이 발생한다. 고위 공직자들에 한해서 운영의 묘를 살리는 지혜가 필요한 이유다.
출처 ㅣ 경향DB
예컨대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려고 하는 어떤 정치인은 자신의 꿈이 아버지에 대한 효도다. 살아생전 못 다한 효도를 국가적 차원에서 하겠다는 것.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정을 돌보기보단 효도에 집중하느라 제대로 일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엔 아예 ‘효도부’를 만들자. 효도부에서는 각 도와 광역시에 아버지 동상과 기념관을 만들고, 초.중.고는 물론이고 대학생들까지 의무적으로 견학하도록 한다. 그러면 대통령은 효에 대한 부담 없이 마음껏 국정을 돌볼 수 있으니 국민들에게도 좋다. 동상과 기념관을 만드느라 일자리 창출도 되니 일석삼조라는 게 바로 이런 거다.
또 다른 분은 어렵게 자란 탓인지 자신의 꿈이 돈을 많이 버는 거였다. 자신은 물론이고 일가친척들도 다 잘 살게 해드려야 한다는 것.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가를 자신이 돈을 버는 수단으로 전락시킴으로써 제대로 일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엔 아예 ‘재테크부’를 만드는 게 좋다. 국가 예산 중 매년 1조원 정도를 떼어 대통령과 일가친척들에게 나눠주고 그들의 재테크를 도움으로써 대통령이 다른 마음을 먹지 않고 국정에만 매진하도록 하자는 것. 1조원이 말이 되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대통령이 1조원을 만들려고 전국의 강바닥을 파게 만드는 것보다는 이편이 훨씬 낫다. 일자리 창출 면에서는 손해일지 몰라도 그로 인해 절약되는 20여조 원을 경제발전과 복지로 돌린다면 이것 역시 일석삼조가 아니겠는가?
내가 아는 또 다른 분은 운동권 시절 고생을 많이 한 탓인지 남이 자신을 알아주는 걸 필생의 꿈으로 갖게 됐다. 공자는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화내지 않으면 그 또한 군자가 아니겠느냐"고 했지만 그거야 공자가 워낙 유명하고 존경을 받는 분이니까 그런 말을 한 거지, 남이 자기를 몰라봐 주는 것만큼 열 받는 경우는 드물다.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여기 저기 전화를 걸어 자신의 위대함을 끊임없이 확인하느라 제대로 일을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엔 각 부처, 심지어 동사무소 같은 곳마다 대통령 전화를 받는 담당자를 하나씩 두자. 대통령으로부터 불시에 전화가 걸려오고, "나 대통령이오!"라는 말이 들리면 "아 네 훌륭하신 대통령님. 지금 일어나서 전화 받고 있습니다."라며 공손히 응대하는 거다. 뭐 그런 쓸데없는 직책을 만드느냐고 하겠지만, 바쁜 공무원들이 이분이 진짜 대통령이 맞는지 걱정하는 것보단, 전화를 잘못 받아 좌천. 해고되는 공무원들이 많아지는 것보단 이편이 훨씬 경제적이다. 게다가 친절한 전화 응대에 기분이 좋아진 대통령이 나랏일을 더 잘할 테니, 가히 일석삼조라 하겠다. 꿈은 꿈대로 좇게 하고, 일은 일대로 시켜먹는 것, 그게 우리나라에서 고위공직자를 제대로 부리는 최선의 방법이다.
'과학과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들의 ‘황금청계상’ (22) | 2012.01.24 |
---|---|
한나라당 ‘디도스 공격’의 이유 (21) | 2012.01.11 |
북한과 선거 (4) | 2011.12.27 |
코미디 빅리그를 보는 짠함 (5) | 2011.12.27 |
아랫것이 문제다 (9) | 201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