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5일, 눈이 많이 내린 그날, 각 언론은 ‘32년 만의 폭설’을 대서특필했다.
서울의 적설량이 7.8㎝였으니 결코 적은 양은 아니었지만,
25.9cm라는, 생애 최고로 많은 눈이 내린 게 2010년 1월 4일이었으니,
몇십년만이라며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런 보도가 나가는 건 기상청이 교묘한 방식으로 기록을 만든 덕분이다.
7.8cm의 눈도 “12월 초순 기록으로는 1980년 이래 32년 만에 가장 많은 양”이라는 식으로 포장되어 기록에 추가되고,
이틀 전 폭설 또한 12년만의 폭설로 기사를 탔다.
해마다 기상에 관한 수십개의 기록이 매스컴을 장식하는 것도 그런 이유인데,
하나하나 들여다보면 뭐 이런 걸 가지고 기록이라고 하나 싶은 게 많다.
“5월 4일만 놓고 봤을 때는 77년만”이라든지,
“오후 세시 강우량으로는 109년만”이라든지,
마음만 먹는다면 매일매일 기록을 만들 수 있겠다.
한파에 관해서도 기상청은 비슷한 기록 만들기를 시도한다.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 50년만의 추위” 같은 기사가 얼마나 많이 나가는가?
그냥 온도만 측정하는 것도 부족한지 ‘체감온도’라는 희한한 잣대를 만들어가지고
“체감온도 영하 25도”라고 떠들어대는 걸 보고 있노라면
기상청이 원하는 건 사람들이 밖에 안나가고 집구석에 있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언젠가 모여서 테니스를 치기로 했는데,
매스컴에서 체감온도가 영하 20도니 어쩌니 하고 난리를 친 적이 있다.
지레 겁을 먹은 동료들이 줄줄이 불참을 선언하는 바람에 소수의 사람만 나왔는데,
막상 나와보니 별로 춥지도 않았다!
그 후부터 기상청의 발표에 뭔가 음모가 있다 싶어 그들 말을 잘 안믿고 있다.
그들 말대로라면 역사상 가장 더운 여름은 올해 여름이고, 가장 추운 겨울도 올해 겨울이니까.
물론 올 겨울이 춥지 않은 건 아니다.
몇 년 전부터 겨울은 해마다 추웠고,
올 겨울도 왜 이렇게 추운지 신경질이 날 때가 많았다.
게다가 기상청도 관심을 받고 싶은 존재인 만큼
자꾸 언론에 노출됨으로써 자신의 존재감을 입증하고픈 마음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난, 최소한 올 겨울엔 기상청과 매스컴이 춥다는 얘기를 너무 과장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사람이란 원래 편견의 동물인지라 춥다, 춥다 하면 더 춥게 느껴지는데다,
작년 12월 19일 이후 많은 이들이 엄청난 심리적 한파에 시달리고 있으니까 말이다.
마음이 영하 30도인데 바깥 온도도 영하 20도라고 떠들어대면
더 춥지 않겠는가?
이왕 기록 만드는 걸 좋아하니, 기상청에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온도나 강우량 가지고만 기록을 만들 게 아니라
다른 기록도 좀 만들어보면 어떨지.
예를 들어 특정 정부에 대해서도 수많은 기록을 만들 수가 있다.
“광해군 이후 측근비리 연루자 수 403년만의 기록”
“유신수립 이후 환경파괴 32년만의 기록”
“자신과 측근이 해먹은 액수 단군 이래 최다”
“선조 이래 얼굴 두껍기로 421년만의 기록”
이런 기록들이 수시로 언론에 보도됐다면 그 5년이 조금은 덜 지겨웠을 테고,
유난히 기록에 집착하던 대통령도 그런 보도에 기뻐했을 거다.
뭐, 앞으로도 기회가 많다.
좋은 측근과 능력있는 올케를 둔만큼 새 당선인도 여러 가지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기대되니까.
'과학과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지방선거를 목표로 뛰고 있지 않습니다 (26) | 2014.02.11 |
---|---|
내가 여자였다면 (96) | 2013.09.05 |
20년 후 (26) | 2012.12.25 |
삼성과 박근혜 (15) | 2012.11.27 |
[서민의 과학과 사회]중남미 국가들의 은혜 (12) | 201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