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염병 권하는 사회

벌써 각하가 그립습니다

 

 

1997년 개봉했던 영화 <편지>의 내용은 이렇다.

박신양은 아내 최진실을 남겨둔 채 뇌종양으로 죽는다.

실의에 빠진 최진실에게 편지 한 통이 도착하는데, 놀랍게도 그건 박신양이 보낸 편지였다.

자신이 죽으면 아내가 너무 슬퍼할까 걱정한 박신양이

자신의 죽음 이후를 가정하고 미리 편지를 써놓은 거였다.

그 후로도 계속 도착한 편지 덕분에 결국 최진실은 실의에서 벗어나 살고자 하는 의지를 다진다.

 

이 영화를 감명깊게 본 사람은 나뿐만은 아니었나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자신의 퇴임 이후 국민들이 자신을 너무 그리워할까봐

자신을 환기시킬만한 장치를 곳곳에 설치해 뒀다.

대표적인 게 4대강 사업.

강이 녹색으로 변하거나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거나,

공사 과정에서 비리가 있었다는 등등의 뉴스가 나올 때마다 우리는

, 맞다. 각하가 있었지!”라며 그를 머리에 떠오른다.

참고로 그분은 내가 각하라고 부르고 싶은 유일한 대통령인데,

그분께서 워낙 소재를 많이 제공해 준 덕분에 내가 칼럼니스트로 뜰 수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인기가 급상승 중인 팟캐스트 <밥 한번 먹자>를 듣다가도 각하가 떠올랐다.

첫 번째 편은 한식 세계화를 집중 조명했는데,

2억원을 들여 블루베리전을 개발했다던지,

십억원으로 허접하기 짝이 없는 한식세계화 홈페이지를 만든 것,

파프리카가 우리나라 대표음식인 것처럼 해놓은 동영상을 몇십억을 들여 만든 일 등은

과연 각하다!”라는 감탄이 나오게 만드는데,

각하는 한식세계화에 아낌없이 돈을 씀으로써

자신이 아내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사람들이 알아주길 바랐던 것 같다.

죄송하지만 이렇게 좀 말해야겠다.

이런 순정남 같으니라고.

 

얼마 전에는 돈세탁 기사가 다시금 각하를 추억하는 계기가 됐다.

각하가 2011년 아랍에미레이트 정부로부터 환경상을 받았는데,

그 상금이 50만달러나 됐다.

정부는 이 상금에 대해 이 전 대통령이 환경 분야 등에 기부하거나 쓸 예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알고 보니 이 돈은 전액 이 전 대통령 개인 통장으로 입금됐단다.

, 자신이 만든 4대강 주변을 자전거를 타고 도는 것도 환경 분야에 포함되겠지만,

이 과정에서 농협을 동원해 돈세탁을 한 정황이 포착된 게 문제였다.

한 네티즌의 설명이다.

농협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해외에서 수상한 상금의 수표가 채 입금되기 전에 이를 매입해 이명박 전 대통령 계좌로 송금했는데요.

이는 공직자법(해외에서 받은 금품신고)를 피하기 위한 꼼수라네요

주간한국에 실렸다가 급하게 삭제된 이 기사를 보면서 사람들은

아 그래, 각하는 정말 돈을 사랑하는 분이셨어라고 한 마디씩 했으리라.

 

박신양이 보낸 편지는 감동적인 비디오를 포함해도 열 통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각하가 자신을 잊지 말아달라며 곳곳에 심어놓은 장치들은

최소한 백 개는 더 될 것으로 보이니,

지금 이 세상을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다음 세대, 어쩌면 그 다음 세대까지도 각하를 두고두고 추억할 것 같다.

이렇게 말이다.

아들: 저곳은 라떼 공장인가 봐!

아빠: 얘야, 저기는 강이란다. 이명박이라는 분이 라떼공장으로 바꿔놨지.

아들: 정말 대단한 분이지.

 

각하, 당신이 그만둔지 1년밖에 안됐는데 벌써부터 당신이 그립습니다.

회고록 열심히 쓰고 계시다니, 그거라도 읽으면서 당신을 추억할게요.

'전염병 권하는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진숙 장관의 빛과 그림자  (48) 2014.02.07
문재인은 왜 졌을까?  (59) 2014.02.05
대통령을 왜 욕하는가  (94) 2014.01.10
응답하라 피디는 좌파다  (48) 2013.12.28
대통령 이용법  (22) 2013.12.27